[뉴스워치] "향후 10년이 골든타임"…정부, 저출산 특단 대책 추진<br /><br /><br />정부가 심화되는 저출산 추세를 국가의 존립이 달린 엄중한 문제로 인식하고 특단의 대책 마련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향후 10년이 마지막 골든타임인 만큼 좀 더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겠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저출산 문제가 갈수록 심각한데, 최근 뉴욕타임스에서는 14세기의 유럽 흑사병 상황보다도 더 처참하다고 한국을 평가했는데요. 한국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 수준일까요.<br /><br /> 지금 당장 아이를 많이 낳는다고 해도 직면한 인구감소를 줄이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. 인구가 줄면 여러 가지 문제를 만드는 요인이 되잖아요. 당장 인구의 20%가 65세인 초고령사회에 직면하게 되고요. 차관님의 관점에서 향후 가장 걱정되는 사회 문제는 무엇입니까?<br /><br /> 일각에서는 아이가 부의 상징이다 이렇게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. 결혼도 줄었고, 결혼을 해도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부부들도 많이 있는데요.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원인을 알아야 하잖아요. 저출산의 근본 원인을 어떻게 진단하고 계십니까.<br /><br /> 말씀을 듣고 보니 우리 사회 전체가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요. 정부도 저출산위원회 등을 꾸려서 많은 예산을 투입하는 등 노력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는 성적표를 받았습니다. 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,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바뀌어야 할 것이라 생각되는데요. 어떤 계획이 있으신가요?<br /><br /> "저출산 시대에 아이를 낳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는 국가가 최대한 도와줘야 하는 게 아니냐"는 의견이 있습니다. 지난 7월에는 난임·다둥이 맞춤형 지원대책을 발표하기도 하셨는데,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난임부부에 대한 지원 확대 계획은 있으신지요?<br /><br /> 최근 대한민국의 미래를 함께 찾아가는 대화 이른바 '패밀리스토밍'이라는 이름의 간담회를 하신다고 알고 있습니다. 청년 부부들이나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얘기를 들으실 것 같은데, 주로 어떤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차관님께서 '국가 존립 위기 상황' 이렇게 진단을 하고 계신데요. 당장 내년에도 17조원의 예산이 투입이 되죠. 이른바 90년대생들이 자녀를 낳을 수 있는 시기인 향후 10년이 골든타임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는데요. 근본적으로 저출산 문제를 반전시킬 수 있는 특단의 대책들이 있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